[카테고리:] 정세와 논평

[전선] 122호 지금은 박근혜 정권과 다르지 않은 문재인 정권을 심판할 때

이을재 ㅣ 전교조 조합원 1. 민주당 정권을 반노동 정권이라 하는 이유 노동자·민중은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등으로 이어지는 오랜 반민주 독재 정권의 폭압과 착취를 벗어나기 위해 오랫동안 민주당을 대안으로 삼아 왔다. 그리고, 끝내 독재 정권을…

[전선] 122호 판매법인 통한 한국시장 존속, 흑자 생산공장 폐업, 집단해고 한국게이츠(주) 공장을 살려내자.

차차원 ㅣ 금속노조 대구지역지회 지회장 1. 게이츠 및 한국게이츠 현황 ◯ 게이츠(주)는 1911년 설립, 현재 미국 콜로라도 덴버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주요 생산품은 자동차 동력전달장치(타이밍 벨트 류, 텐셔너, 자동변속기 등), 산업용 유압 호스,마이크로 벨트 등…

[전선] 122호 사회주의 사회에서 여성의 지위와 역할 : 혁명의 한 쪽 수레바퀴

천연옥 ㅣ 부산 노동전선 필자는 작년에 노동전선 ‘정치학 강좌’에서 <노동운동과 페미니즘>을 주제로 강의하는 기회를 가졌다. 그 강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관련 도서들에 대한 서평을 쓰기도 하였다. <노동운동과 페미니즘>에서는 페미니즘의 갈래와 역사, 그리고 노동자계급의 해방사상으로서의 맑스주의 여성해방론을…

[전선] 122호 *를 통해서 보는 대공황과 민중의 분노

김지심 l 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가 1. 공황이론 전세계적인 코로나19 질병의 확산 충격으로 최악의 경제위기가 올 수 있다며, 이를 두고 새로운 ‘대공황 Great Depression’을 맞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역사는 이미 자본주의 이래 서너 차례의 대공황을 경험하였다. 주장하는…

[전선] 122호 자유롭고 의식적인 활동을 위해

송서경 ㅣ 배달 노동자 도시가 죽고 사는 것은 기업에 달렸다. 노동자도 기업이 없으면 살지 못한다. 그런데 노동자의 조직과 투쟁으로 인해 임금이 오르고 안전을 위한 규제가 만들어지면 일자리는 없어진다. 자본주의 아래에서 노동은 이윤을 최대로 뽑아내는데 필요한…

[전선] 122호 2호 사회주의, 혁명정당, 그리고 사회주의 운동의 당면 과제

※ <편집자 주> 이 글은 필자에게 『현장과 광장』 2호 독자 후기를 요청한데 대한 답글이다. 노동운동내에 조합주의와 경제주의가 횡횡하는 데 필자는 한 발 더 나아가자며 개괄적이고 전체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의 쟁점에 대하여 노동전선 뿐만…

[전선] 122호 2호 독자후기 당신이 먹고 마시는 식수원에 기준치를 훨씬 초과하는 아연(카드늄)이 들어가 있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 구시대적 근대화 산업시설 이전을 촉구하며

이준우 l 대구참여연대 회원 『현장과 광장』 2호 전진수 환경 활동가님이 작성한 「환경파괴의 참상, 영풍석포제련소 탐방을 다녀와서」를 읽고 영풍석포제련소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영풍제련소는 1970년 경북 봉화 석포면에 들어선 아연제련공장이다. 그동안 석포면이 있는 봉화군하면 물과 자연이 깨끗한…

[전선] 122호 2호 독자후기 희망과 대안을 읽다

은영지 ㅣ 평화 활동가 지독한 근시에 노안까지 겹친 데다 공간지각 능력마저 부족한 탓에 길 찾는 데는 도통 젬병이었다. 운전할 때 더욱 그러해서 엉뚱한 길로 접어들었다가 도로 위에서 미아가 되는 위험천만한 일이 잦았다. 이럴 때 내비게이션이…

유성기업 손배소는 노조파괴 최후수단이다. 대법원은 판결로써 ‘노동권 침해하는 기업의 법제도 악용’을 멈춰라.

“쟁의조정 거쳐 파업 들어가면 조합, 조합원에 대한 손해배상·가압류 청구”(창조컨설팅 문건요약) 2011년 창조컨설팅의 노조파괴 작전문건에 적시된 바와 같이 유성기업의 손해배상 청구는 노조파괴작전의 최후수단이다. 결코 손해보전의 목적이 아니다. 노조파괴 작전임이 버젓이 드러났음에도 조합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는 10년째 살아…

[공동성명] 민주노총, 다시 총노동 투쟁전선을 형성하자

7월 27일 민주노총 14차 임시 중앙집행위원회는 김재하 부산본부장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선출하고, 비대위 구성에 착수했다. 하반기에는 민주노총 3기 직선제 선거가 예정되어 있으나, 비대위의 임무는 단지 ‘선거 준비’에 한정될 수 없다. 노사정 합의 반대운동의 결과로 만들어진 비대위인만큼, 비대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