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태일 동지를 기억해야하는 이유
김승호 | 전태일을 따르는 사이버노동대학 대표[1]이 글은 부산대학교 학보사의 원고청탁에 따라 지난 9월 29일 송고한 글입니다. 수정 없이 다시 <현장과 광장>에 기고합니다. 전태일 동지가 서거한 지 반백년이 되었다. 전태일 동지는 1970년 11월 13일 오후 1시…
김승호 | 전태일을 따르는 사이버노동대학 대표[1]이 글은 부산대학교 학보사의 원고청탁에 따라 지난 9월 29일 송고한 글입니다. 수정 없이 다시 <현장과 광장>에 기고합니다. 전태일 동지가 서거한 지 반백년이 되었다. 전태일 동지는 1970년 11월 13일 오후 1시…
최승원 |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조합원 # 기억 하나. 어쭙잖게 몇 해 동안 5.18 관련 강연과 답사 안내를 해왔다. 광주에서 태어난 것도 아니고, 80년 당시 국민학교 3학년이었으니 5.18을 직접 겪지도, 보지도 못했다. 그럼에도 소소했던 그즈음 광주 밖에서의…
홍승용 l 현대사상연구소 소장[1]이 글은 8월 22일 영남권 노동전선 교육위원회 수련회에서 발표한 내용입니다. 1 얼마 전 변혁당과 노동당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대중화의 필요성이 화두에 올랐습니다. 대중화 방법의 일환으로 사회주의 연합정당에 대한 논의도 있었고, 2022년 대선에 어떻게…
안상헌 | 충북대 철학과 명예교수[1]이 글은 <노동전선>의 ‘2019년 9월 월례정책토론회(민주노총 13층 회의실, 2019. 9. 28.)에서 발제한 발표 요약문을 약간 수정‧보완한 것이다. 따라서 … Continue reading 들어가며 1. 아나키즘은 노동자계급운동의 태동기부터 노동자계급운동에 대한 안티테제로 등장해 이론적으로나 실천적으로…
신명호 | 과학기술평가예측센터 소장[1]본 논문은 2012년 과학기술 공공성 포럼과 2015년 과학기술과 민주주의 심포지움에서 발표된 논문들에서 일부를 발췌하였다. 논문에서 주장되는 내용은 … Continue reading (주제 9)[2](주제 9)는 유명한 Arie Rip의 과학에서의 신용 순환을 제시한다. 최근 논문 [6]의…
송재혁 | 전교조 법외노조 탄압 해고-복직자 러시아의 베토벤 주여, 우리에게 바꿀 수 없는 것을 평온하게 받아들이는 은혜와 바꿔야 할 것을 바꿀 수 있는 용기, 그리고 이 둘을 분별하는 지혜를 허락하소서.위 문구는 작곡가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Dmitri Shostakovich)가…
천연옥 | 부산노동전선 1. 글을 시작하며 노동자계급의 해방사상으로서 맑스주의 여성해방론은 맑스의 『공산당 선언』, 엥겔스의 『가족, 사유재산 및 국가의 기원』, 베벨의 『여성과 사회주의』 등의 저서를 통해 확립되었다. 이후 이 저서들에 서술된 입장들은 클라라 제트킨, 로자 룩셈부르크…
조한진희(반다)[1]젠더, 질병, 장애, 팔레스타인 이슈를 넘나들며 활동하는 탈식민 페미니스트. 다른몸들, J성폭력공대위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iingmodo@gmail.com 성폭력은 심각한 문제이며, 단호한 입장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이의를 제기하는 이는 없다. 문제는 언제나 성폭력에 대한 해석이다. 미투를 둘러싸고 진짜…
송서경 l 배달노동자 도시가 죽고 사는 것은 기업에 달렸다. 노동자도 기업이 없으면 살지 못한다. 그런데 노동자의 조직과 투쟁으로 인해 임금이 오르고 안전을 위한 규제가 만들어지면 일자리는 없어진다. 자본주의 아래에서 노동은 이윤을 최대로 뽑아내는데 필요한 수단으로만…
진진수 l 환경활동가 지금 창밖에는 장맛비가 계속 쏟아지고 천둥 번개가 치고 하늘이 캄캄하다. 하늘에 구멍이라도 뚫린 듯이 물 폭탄이 전국 곳곳에서 터져 커다란 산사태 홍수피해로 사람들이 죽고 실종되었으며, 농경지와 산들이 강으로 쓸려가 버렸다. 바다엔 또…
최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