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애국에 대하여
채효정[1]대학은 누구의 것인가』의 저자┃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해고 강사 애국에도 급이 있고몫이 있어 일본 여행 가지 않고일본 차 사지 않고일본 술 마시지 않는 그런 애국, 아무나 못해 일본 여행 다니던 사람일본 차 몰던 사람퇴근하고 스시집에서 사케라도 한…
채효정[1]대학은 누구의 것인가』의 저자┃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해고 강사 애국에도 급이 있고몫이 있어 일본 여행 가지 않고일본 차 사지 않고일본 술 마시지 않는 그런 애국, 아무나 못해 일본 여행 다니던 사람일본 차 몰던 사람퇴근하고 스시집에서 사케라도 한…
이민숙┃전교조 해고자 1. 들어가며 2019년 오늘, ‘과거사’가 여러 쟁점을 만들어내고 있다. 그 출발에 (문재인정부가 주도한) ‘3.1운동 100주년’이 있었다는 것이 그리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촛불 이후 혐오대상이 댄 태극기가 광화문 광장에 다시 자랑스럽게(?) 나부끼고, 대통령과…
이성우┃전교조 교사 오늘은 1919년 3.1운동이 일어난 지 100년이 되는 날이다. 나라의 해방을 위해 몸을 바쳐 항쟁하신 선열들의 정신을 기리며 이 글을 쓴다. 선열들의 희생으로 나라를 되찾은 지도 어언 70여 년이 지났지만, 지금도 이 나라는 친일…
김동국 | 전(前) 전교조 부위원장 들어가며 일본과의 관계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경제 전쟁으로 표현되는 반도체 관련 부품 수출 제한, 백색국가 제외 등의 일본의 공격에 대하여 일본산 제품 불매운동, 지소미아 종결 등 한국의 대응도 강력하게…
김승호 | 전태일을 따르는 사이버노동대학 대표[1]이 글은 노동전선이 2019년 7월 20일(토) 주최한 <노동운동과 시민운동>토론회 주제의 발제문을 보완한 글입니다. 1. 용어법 노동운동 노동운동을 노동자운동으로 명칭을 바꾸는 것은 과학적인가? 그러면 여성운동을 여자운동으로 바꾸는 것은 과학적인가? 노동운동은 노동자가,…
최덕현 | 전교조 조합원[1]이 글은 노동전선이 2019년 7월 12일(금) 주최한 <교육(노동)운동 방향 정립을 위하여> 토론회 발제문을 수정하고 보완한 글입니다. 교육 위기의 징후들 현재, 교육을 두고 ‘교실이 붕괴되었다’고 하고, ‘한국 공교육, 또는 학교 교육이 위기’라고도 한다.…
김성구 | 한신대학교 명예교수[1]이 글은 필자의 저서, 『경제무식자, 불온한 경제학을 만나다』, 나름북스, 2016을 토대로 하여 ‘현장실천•사회변혁 노동전선’에서 진행한 세 번의 … Continue reading 1. 잉여가치론(착취론) 마르크스 경제학은 제1부 ‘자본’으로부터 시작해서 제6부 ‘세계시장과 공황’으로 끝나는 정치경제학 비판…
홍승용 | 현대사상연구소[1]이 글은 2019년 노동전선 여름 수련회에서 제출된 강의안을 수정 보완하여 『현대사상 21 국가』에 게재된「프롤레타리아 독재와 자유로운 개인들의 … Continue reading 1 우리는 대개 기존의 국가 상태를 자연조건 혹은 숙명처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인다. 그러다 심각한…
송재혁 | 전교조 법외노조 탄압 해고자 “모차르트, 베토벤 역시 싸워서 획득해야 하는 것이다. 건강한 주거생활, 훌륭한 식사, 의미 있는 일, 2세들에게 필요한 교육, 노후생활의 보장이 그런 것처럼” 20여 년 전 어느 날 동네의 유서 깊은…
이영주 | 전교조 해고 노동자 영화 ‘기생충’을 본 사람들의 관람평에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는 ‘불편함’이다. 처음엔 그리 많은 사람들이 불편해 한다는 게 놀라왔고, 다음은 그리 다양하게 불편해 한다는 게 놀라왔다. 서 있는 곳에 따라 보이는…
최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