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노동전선

노동전선

현장실천, 사회변혁 노동자전선

[전선] 136호 11-3 선거, 활용하느냐, 활용당하느냐. – 현장과 광장5호 서평

전우재 ㅣ 대경 노동전선 회원 1. 2021년은 혼란한 해다. 앞이 보이지 않는다. 그러지 않았던 때가 없었지만, 그 어느 때보다 반노동 계급투쟁이 극심하다. 자본은 노동 계급 분할 지배를 진행하고, 조직하지 못하도록 탄압한다. 수많은 사람이 선거 유세에…

[전선] 136호 11-2 전쟁으로 먹고사는 광기어린 나라, 미 제국주의

-김남기의 <반공주의가 외면하는 미국 역사의 진실> 을 읽고 은영지 ㅣ 평화 활동가 소시민으로 살다보니 경찰서 갈 일이 없던 내가 성주경찰서에 출두하라는 요구서를 받았다. 소성리에서 사드철거투쟁하는 과정에 불법사드기지로 들어가는 공사차량을 막으려고 길 위에 퍼질러 앉아 있었다고…

[전선] 136호 11-1 “110만 조합원 민중경선으로 대선판을 흔들자!”

110만 민중경선과 대선투쟁은 총파업투쟁의 상승 발전! 양동규 ㅣ 민주노총 부위원장 코로나19는 노동자 서민의 삶을 흔들고 위협했다. 코로나19에 대한 대응도 불평등했고 결과도 불평등했다. 노동자들은 일자리를 잃었으나 부자의 자산은 증가했고 불평등은 심화되었다. 코로나 19의 위력 앞에서 4차…

‘더민당’과 ‘국힘’당, 뭐가 다르나?

― 김종인의 행보를 통해 본 보수 양당 당이란 모름지기 노선이라는 게 있는 법이다. 김종인의 정치적 행보는 누가 봐도 국힘당과 민주당은 본질에서 같은 당임을 말해준다. 국힘당 윤석렬 대선캠프에서 모셔오고 싶어 안달이 난 김종인 씨를 대략 들여다보자.…

[전선] 135호 10-5 ‘정의로운 산업 전환’은 가능한가?

조남수 l 현장실천 사회변혁 노동자전선 1 들어가는 말 이 땅에서 변혁운동을 고민하고 실천하는 주체들에게 유령처럼 퍼지는 무수한 서구 담론만큼 따라 잡기 힘든 것은 없는 듯 보인다. 물론 현실운동을 고민하는 주체들은 구체적 현실에 대해 끊임없는 분석을…

대선과 노동자정치

홍승용꒐현대사상연구소 1 대선이 다가옴에 따라 여야 보수 정치권의 사활을 건 권력투쟁이 모든 사회적 관심사를 블랙홀처럼 빨아들일 기세다. 특히 민주당 경선 한복판에서 불거진 대장동 사건에서는 어떻게 극소수 법조⋅언론⋅정치권력 카르텔이 토건업을 통해 천문학적 부를 개인들 주머니에 쓸어…

[전선]135호 10-4 대우조선 매각 철회 투쟁

강태완 l 대우조선 지회 편집4부장 3월 17일 ~ 10월 1일 공정위 천막농성 9월 8일 ~ 9월 15일 경남 기자재 밸트 사수와 대우조선 매각 철회 천리길 도보행진 9월 17일 ~ 10월 1일 지회장 청와대 사랑채 1인…

[전선] 135호 10-3 민주주의마저 쓸모없는 세상을 향해

레닌의 국가와 혁명을 읽고 전우재 l 대경전선 회원 『국가와 혁명』은 단행본 분량의 발제문 같은 책이다.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 『공산당 선언』, 『프랑스 내전』을 상세히 해설하고, 당대 베른슈타인이나 카우츠키가 주장하던 개량주의 흐름을 비판한다. 책은 앞서 언급한…

[전선] 135호 10-2 프롤레타리아 혁명 역사를 만든 특별한 우정

H 겜코브의 마르크스ㆍ 엥겔스 공동전기 <두사람>을 읽고 은영지 ㅣ 평화활동가 1. 들어가는 글 지난 10월 20일, 이 땅의 노동계급의 희망인 민주노총이 총파업을 실행, 자본계급과 그에 기생하는 문재인 부르주아 정권에 타격을 주고자 했으나 아무 일도 일어나지…

청소년 실습생들의 연이은 참담한 죽음에 대하여

빈곤과 죽음의 노동에 시달리는 청년들이 앞장서서 착취체제를 철폐하자! 산업재해를 당하고 처참하게 죽어간 노동자들의 죽음 가운데 비통하지 않은 죽음이 있겠냐만, 그 중에서도 청년 노동자들, 특히 젊디젊은 고교 실습생들의 죽음은 무엇보다도 더 우리를 사무치게 가슴 아프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