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역사적 유물론의 재정식화
[1]이 글은 노동전선 <현장과광장편집위> 세미나(2020년 9월 9일)에서 발표한 글을 재정리한 논문입니다이병창 | 동아대 철학과 명예교수 1) 역사적 유물론의 기본 원리는 마르크스[2]엥겔스와 공저이나 이 글에서는 편의상 마르크스만 지칭하겠다.가 1847년 작성한 독일 이데올로기라는 책에서였다. 특히 이 책…
[1]이 글은 노동전선 <현장과광장편집위> 세미나(2020년 9월 9일)에서 발표한 글을 재정리한 논문입니다이병창 | 동아대 철학과 명예교수 1) 역사적 유물론의 기본 원리는 마르크스[2]엥겔스와 공저이나 이 글에서는 편의상 마르크스만 지칭하겠다.가 1847년 작성한 독일 이데올로기라는 책에서였다. 특히 이 책…
[1]이 글은 2020년 9월 15일 노동전선 대중강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보완한 것임.홍승용 | 현대철학사상연구소 소장 우리는 대개 가족이나 동료들 혹은 공동체로부터 소외되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누구라도 자신이 속한 집단에서 고립되거나 따돌림 당하여 무기력해지면, 삶의 의미를 찾기도…
[1]이 글은 2020년 12월 15일 ‘현장실천 사회변혁 노동자전선’에서의 강좌 내용을 다소 수정・보완한 것이다.채만수 | 노동사회과학연구소 소장 1. 다시 제기된‘부동산’・주택문제 최근 1년 수개월 사이에 서울을 위시한 대도시의 주택・아파트 가격이 다시 폭등하면서 이른바‘부동산 문제’가, 아니,‘부동산 문제’를 둘러싼…
[1]이 글은 2020년 12월 22일 노동전선 대중강좌에서 발표한 글을 보완한 것임을 밝힙니다.천보선 | 진보교육연구소 소장 마르크스는 체계적인 교육론을 전개하지는 않았다. 그렇지만 교육 문제에 대해 나름의 입장을 일정하게 개진하였고 마르크스의 견해는 당연히 이후 마르크시즘 진영에서 전개된…
[1]이 글은 2020년 노동전선 대중강좌(10월 27일)에 발표한 글을 수정·보완한 것임을 밝힙니다.김지심 | 장애인자립지원센터 활동가 1. 탈시설 운동 (1) 아무개씨의 일상 〇 성명: 아무개(84년생)〇 시설 입소기간: 16년 3개월(아동요양원에서 전원) 〇 연고자: 없음 〇 건강 상태: 폐기흉수술…
은영지 l 사드저지 평화활동가 경영학과나 경제학과에서 공부하는 사람을 이재에 밝은 세속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하던 때가 있었다. 인간의 깊은 내면이나 사회구조의 문제를 천착하는 인문학적 소양을 위해 철학과나 사회학과에 가는 게 바르다고 열광하면서 말이다. 그러다 보니 경제 분야엔…
노제혁 l 자유기고가 민주노총 조합원 설문 조사에서도 나타난 것처럼 이제는 많은 사람이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으며, 새로운 세상을 고민하고 있다. 이러한 시기 왜‘사회주의’라는 것이 새삼스럽게 주목을 받고 있는지,‘사회주의’라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학습과 토론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기를…
천연옥 l 부산회원 1. 글을 시작하며 쿠바는 한국의 자본가계급이 장악한 언론에 의해서 지독히 가난하고, 카스트로 형제가 60여 년간 장기집권하고 있는 독재국가로 인식되어 왔다. 북과 더불어 지구상에서 없어져야 할 빨갱이 국가로 묘사되고, 북과 함께 미국의 오랜…
김학한 l 대학 무상화-대학 평준화추진본부 정책위원장 교육혁명의 깃발을 다시 들다 대학 무상화-대학 평준화 추진본부가 지난해 11월 출범하였다. 대학의 공공성강화와 대학서열화 해소를 목표로 초중등 교육 주체와 대학 교육 주체, 시민사회단체가 함께 모여 조직을 결성한 것이다. 입시폐지대학평준화…
김석정 l 노동당 정책위원회 의장 “모든 역사는 현대사이다”라는 제목으로 나온 현장과 광장 3호를 받아보았을 때 ‘현대사’인 역사가 갑자기 생각나서 울컥하는 것이 있었다. 2호 제목인 “영원한 승리의 그 날까지”가 뜨거운 에너지와 힘찬 의지를 전달하고 있었다면, 이번…
최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