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선] 165호 5-4 세계적 격변이 다가오다
이 기사는 노동자신문 17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전원배 ㅣ 노동전선 정책위원장 세계자본주의 공황 없이 혁명 없다 초기 맑스는 “새로운 혁명은 새로운 공황의 결과로써만 가능하다. 그러나 새로운 공황이 확실한 것처럼 새로운 혁명도 확실하다.”(프랑스에서의 계급투쟁)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 기사는 노동자신문 17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전원배 ㅣ 노동전선 정책위원장 세계자본주의 공황 없이 혁명 없다 초기 맑스는 “새로운 혁명은 새로운 공황의 결과로써만 가능하다. 그러나 새로운 공황이 확실한 것처럼 새로운 혁명도 확실하다.”(프랑스에서의 계급투쟁)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 기사는 노동자신문 17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구교현 ㅣ 라이더유니온 위원장 4월11일 구미에서, 4월12일 부천에서, 4월13일 신림역에서 그리고 4월23일 인천에서, 한 달 사이에 무려 네 명의 배달노동자가 세상을 떠났다. 작년에도, 제 작년에도 대한민국에서 산재가 가장 많이…
이 기사는 노동자신문 17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이을재 ㅣ 노동전선 공동대표 서울시 내 한 공립 중학교 교사가 자기 뜻과 다르게 재직 중인 학교에서 다른 학교로 전보 발령되었다. 대책위는 당연히 전보 원칙을 벗어난 부당전보로 규정하고, 부당전보 철회…
이 기사는 노동자신문 17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이현숙 ㅣ 노동전선 이른바 “저출산 문제”가 요란하다. 여성 한 명이 출산할 아이가 0.72명 정도다. 인구소멸까지도 생각해야 할 정도이다. 대략 5천년의 계급사회의 역사는 “빈자에 대한 부자들의 전쟁의 역사(푸리에)”이다. 노동빈민들은 “선진조국”에서,…
정진석 ㅣ 평화 활동가 무사히 귀환하라!<세월호 10년, 한국 옵티칼 고공농성 100일> 옵티칼 문화제가 진실과 헤아림과 연대와 존엄으로 풍요로웠다. 김진숙 노동자의 고공농성 중인 노동자들에 대한 세심한 공감의 말, 그리고 자신의 삶 자체로 그들을 지지하는 힘은 정말…
이 기사는 노동자신문 16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비자이 프라샤드 (번역: 김의진) 다가오는 기아에 직면하여 가자지구에 구호물자를 들이기 위해 ‘임시 항구’를 짓겠다는 바이든의 약속은 단지 허울에 지나지 않으며, 이스라엘의 제노사이드에 대한 미국의 공모로 인해 훼손되고 있다. 3월…
이기사는 노동자신문 16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신재길 ㅣ 노동전선 정책위원 건설사 4월 위기설이란 부동산 침체, 건설사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만기, 은행의 고금리로 인해 건설사가 빠르면 총선이 끝나고 4월, 늦어도 가을쯤에는 대규모 부도 사태에 직면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이 기사는 <노동자신문> 15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박현욱 ㅣ 노동예술단 선언 어제도 들었다. “사장님, 이 제품 한번 써보세요” 마음속 깊은 곳에서 “저 사장 아닌데요. 초면에 왜 그런 험한 말씀을 하시죠?”라는 말이 올라와 목구멍을 간지럽히지만, 그저 웃으며…
이 기사는 <노동자신문> 15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심미숙 ≪자본론≫을 비롯한 맑스ㆍ엥엘스의 저작을, ≪국가와 혁명≫을 비롯한 레닌의 저작을 읽다보면 크게 감동하며 깨닫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가장 고통당하는 사람들에 대한 절절한 관심과 사랑. 또 하나는, 그 고통의…
최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