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er><font size=5 color=black><b>"하청노동자 산재사망 책임자 손재병 현대미포조선 사장을
즉각 구속하라"</b></font>
19개 노동단체, 공동 고소고발 진행</center>
현대미포조선 현장노동자투쟁위원회와 현대중공업 전진하는노동자회, 현대중공업사내하청지회 등 울산지역 19개 현장조직과 노동단체, 정당들은 29일 오전10시 기자회견을 열고 '현대미포조선 산재사망사고 책임자 처벌 공동 고소고발'을 진행했다.
<img src=http://www.nodongnews.or.kr/upfiles/bodo/080429goso.jpg>
▲29일 울산시프레스센터에서 19개 노동단체, 정당 대표들이 모여 조선업 자율안전관리제도 폐지와 현대미포조선 송재병 사장 처벌을 요구하며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공동 고소고발 대표를 맡고 있는 현대미포조선 김석진 현장투 의장은 "현대미포조선은 최소한의 안전조치조차 취하지 않은 채 작업을 강행, 작년 10월에 이어 올 1월과 2월에 하청노동자 세 명을 죽게했다"며 "특히 지난 1월21일 발생한 유원전기 소속 윤희열 노동자의 산재사망사고와 관련해 현대미포조선 사업주인 송재병 대표이사를 노동부에 고소고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표 고발자 김석진 의장은 "1월21일 사망재해는 (주)현대미포조선에 의한 간접 살인"이라며 "대표이사 송재병을 즉각 구속 처벌할 것"도 아울러 요구했다.
또 "'조선업 자율안정관리제도'가 노동부의 책임방기 수단이 되고 있다"며 이를 폐기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들 공동 고소고발자들은 기자회견 직후 울산노동지청을 방문해 고발장을 접수하고 울산노동지청 산업안전관리과장과 면담을 진행했다.
공동 고소고발자들은 면담과정에서 "현대미포조선 회사측이 1월21일 사망재해에 대해 민형사상책임을 다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사실이냐"고 물었고, 이에 대해 산업안전관리과장은 "노동부에서 병행작업 건으로 검찰청에 고소고발한 상태"라고 답했다.
공동 고소고발자들은 또 조선업 자율안전관리제도 이후 오히려 산재사망사고가 늘고 있고 산재은폐가 심해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제도 자체를 폐기해줄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노동지청은 "올해 평가를 통해 제도를 개선하겠다"고만 밝힐 뿐 "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밝혀 면담자들의 원성을 사기도 했다.
이어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계속 사망하고 있는데 대한 특단의 대책을 묻자, 노동지청은 "사고 현장에 점검나가 조치를 취할 뿐 현실적으로 특단의 대책은 없다"고 답했다.
이에 공동 고소고발자들은 "죽고난 후 점검만 하겠다는 것이냐? 그럼 노동부가 있을 필요가 뭐 있냐"며 소리높여 항의하기도 했다.
공동 고소고발자들은 "1월21일 윤희열 노동자 사망사고의 책임을 물어 손재병 대표이사를 구속시키면 특단의 대책이 될 것"이라며 다시 한 번 즉각 처벌을 강력히 촉구했다.
<img src=http://www.nodongnews.or.kr/upfiles/refer/080429myun.jpg>
편집국 2008-04-29 오후 3:3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