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막농성 98일차, 고공농성 40일차
29일(고공농성 34일차)
이명박의 반노동자적 작태를 눈으로 확인한 날이었습니다. 민주노총과의 간담회를 궁색한 변명으로 일방파기했던 이명박이 GM대우 부평공장을 방문하였습니다. 이명박이 GM대우를 노사화합, 외자유치 성공기업이라고 합니다. 이명박에게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않고 탄압하는 것이 ‘노사화합’이고, 가파른 성장과 대규모 흑자에도 더욱더 살인적 노동강도를 강요하고 비정규직 정리해고를 하는 것이 ‘외자유치 성공사례’인 모양입니다. 지회는 이명박을 직접 만나 GM대우의 실상을 알리려 길목마다 기다리고 있었으나, 경찰은 대규모병력을 배치, 비정규직노동자들은 이명박의 ‘행차’를 볼 수조차 없게 만들었습니다. 이명박이 부평공장 안에서 ‘쇼’를 하는 동안 해고조합원들은 공장서문 앞에서 GM대우의 실상을 알리는 선전전을 진행하였습니다.
30일(고공농성 35일차)
금속노조 신년투쟁 선포식에 참여했습니다. 1500여명의 금속노조 투쟁사업장 조합원, 확대간부들이 모여, 이명박의 친기업/반노동자 정책 규탄, 산별교섭 제도화, 장기투쟁 문제해결 등의 노동현안에 대한 대책을 강화할 것을 촉구하는 자리였습니다.
대자지부 대의원대회에서 ‘1사1조직’ 관련 규약개정안이 통과되었습니다. 애초 비정규직지회가 바라던 ‘1사1조직’ 관련논의 참여와 비정규직 현안투쟁에 대한 결의는 아쉽게도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지회는 이후 정규직/비정규직의 공동논의와 단결된 투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나갈 것입니다.
31일(고공농성 36일차)
17차 단체교섭을 요청하였으나 원하청 어느 한군데 나오지 않았습니다. 박현상 동지는 1월 한달동안 땅을 전혀 밟아보지도 못한채 보내게 되었습니다.
지회 1월 투쟁 영상 (제작 : 지회 영상팀 ‘아라도’)
2월 1일(고공농성 37일차)
설을 앞두고 전체 해고조합원들이 모여 향후 투쟁방향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였습니다. GM대우의 바람과는 정반대로, 시간이 갈수록 조합원들의 투쟁의지가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대우 지회장이 30미터 철탑에 올라 박현상 동지에게도 조합원들의 투쟁결의를 전달했습니다. 내용을 전해들은 박현상 동지는 장기간 농성의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무기한 고공농성을 이어갈 것이라는 결의를 다시 한번 밝혔습니다.
2일(고공농성 38일차)
특수고용직 노동자의 조직화와 노동기본권 쟁취를 위해 투쟁하셨던 학습지노조 故 정종태 열사를 기리기 위한 3주기 추도식에 참석하였습니다. 우리 지회가 ‘정종태 열사상’을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한해 많은 비정규직 사업장들이 치열하게 투쟁했음에도 이제 막 미약하나마 투쟁을 시작한 우리 지회에게 뜻깊은 상이 주어진 것에 대해 영광스러운 한편으로 부끄러운 마음이 들었습니다. 이 상을 통해 조합원들이 보다 힘을 얻었으며, 열사와 수많은 투쟁사업장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투쟁을 벌여나가자는 결의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오후에는 지역에서 이랜드/뉴코아 매출타격투쟁에 참여하였습니다.
4일(고공농성 40일차) - 스피드 해고조합원 16명 전원 부당해고 판정
오늘부터 GM대우 부평공장은 짧게는 1주일, 길게는 2주일까지 휴무에 들어갔습니다. 스피드파워월드 해고조합원 16명에 대한 지방노동위원회 심문회의 진행되었습니다. 결과는 당연히 전원 ‘부당해고’판정이 내려졌습니다. 그러나 고용승계를 해야 할 신규업체 ‘에이앤티텍’에게는 고용승계의무를 부여할 수 없다는 판정이 이어졌습니다. 참 웃긴 일입니다. 부당해고는 당했는데 자신의 일터로는 돌아갈 수 없다는 판정. 이런 말도 안되는 판정이 계속되는 한, 사내하청에서 빈발하고 있는 자본의 보복성 업체계약 해지, 조합원 고용승계 거부 행태는 계속될 것입니다. 이 문제는 이미 금속노조 차원에서도 관련 대응방안들이 논의되고 있기에, 지회는 금속노조를 중심으로 다른 사업장들과 연대하여 자본의 못된 버르장머리를 뜯어고치기 위한 투쟁을 벌여나갈 것입니다.
금속노조 GM대우자동차비정규직지회
GM대우자동차 비정규직지회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