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실천 사회변혁 노동자전선▒▒▒
 
HOME | 로그인 | 회원가입 | 자료찾기
 
   
 
 
 
 
레닌 비판 2
연대사회
330 1164  /  251
2007년 12월 13일 13시 14분 44초
 

1. 레닌을 정면 비판하려고 한다.(--그 비판은 트로츠키에도 거의 그대로 적용된다. 아직 레닌주의 트로츠키주의를 신봉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있기 때문에 아직도 레닌 비판은 필요하다)

 

그런데 이렇게 비판을 시작하면 흥분해서 “응? 그사람이 완전 엉터리라구?”하고, 비판하는 사람을 ‘저급한 사람’으로 몰아붙이는 사람이 간혹 있기 때문에, 레닌이 10월 혁명에 성공했던 것은 대단한 일이었다는 ‘확인’부터 해둔다. 레닌이 ‘4월 테제’를 꺼내들었을 때 주변동료 모두가 처음에는 반발했다지 않은가.


2. 그런데 ‘1917년 10월 혁명에 성공할 수 있었다’라는 말과 ‘10월 혁명이 본때있는 사회주의 혁명이었다’는 말은 서로 다른 말이다. 구체제를 몰아냈다는 점에서는 대단했다. 즉 부르주아혁명을 완수한 면, 그 자체만으로도 ‘대단하다’고 말해줄 수 있다. 그러나 이 평가와 ‘그것이 사회주의 혁명으로서 탁월한 것은 아니었다/처음부터 빗나갔다’는 평가를 조심스럽게 구별해야 한다.


3. <<처음부터 빗나갔다>> ;  소련이 패망한 뒤로, 이 사실은 너무나 분명해졌다. 안타까운 것은 현실사회주의 붕괴의 원인을 ‘제국주의의 압박, 파괴 공작’에서 주로 찾거나, 거기에 더하여 ‘스탈린주의의 폐해’를 거론하는 것쯤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손쉽게) 이해하는 경향이다. 다시 말해 “레닌과 트로츠키는 별다른 잘못이 없고, 오직 스탈린이 일을 그르쳐버렸다”고 속 편하게 도마뱀 꼬리를 자르는 논리들!


4. 이에 대해 구구한 말은 생략한다. 최근 프랑스의 ‘LCR’이 (중도파로 변신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트로츠키주의를 표방하는 것을 그만두었다는 소식을 하나의 ‘지표’ ‘암시’처럼 언급하는 것으로 그친다. 유럽에서 가장 진보적인 나라 프랑스에서, 국가사회주의의 두 정당, 사회당과 공산당뿐 아니라, 한때 30살 젊은 우체국 노동자를 대통령후보로 내세워 ‘참신한 면모’를 과시했던 트로츠키주의 정당까지도 쇠퇴하여 ‘구-좌파적 방향’이 빛을 잃어가고 있다는 증표다. 이번 11월, 연금개혁반대 파업이 적당히 흐지부지된 데에 LCR, LO 같은 트로츠키주의 정당까지도 한 몫 거들었다는 씁쓸한 소식과 함께.  


5. 레닌의 철학과 사상으로 현실사회주의를 넘어설 수 있느냐 하는 문제다. 그런데 레닌은 도처에 허점을 품고 있다. 먼저 철학!

맑스는 ‘노동의 부정적 변증법’을 통해 유물론/관념론의 2원론을 지양했다. ‘철학 그 자체’를 지양함으로써 주체와 객체를 통합한 것이다.

그러나 ‘유물론과 경험비판론’에서 레닌은 맑스가 비판해 마지 않았던 포이에르바하류의 ‘철학적(관조적) 유물론’으로, 후퇴했다. 그는 ‘의식’에 비해 ‘물질’에 인식론적 우선권을 부여했는데 이는 의식과 존재의 변증법적 통일과 모순된다.

(맑스는 통설과 달리, ‘유물론’을 함부로 내세우지 않았다. ‘과학’과 동의어로서만 썼다. 관념론과 즉자적으로 대립하는 유물론이라는 것은 또다른 관념론에 불과하다. 그는 물질과 관념을 매개하는 ‘사회’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관념론/유물론의 허구적 대립을 피했다. 맑스의 입지점은 ‘물질적 생산행위’ 등이 아니라, ‘인간적 사회’ 또는 ‘사회적 인류’였다.)


--- 이론과 실천의 분리 ;  물론 이것은 레닌만의 오류가 아니라, 그의 선배인 플레하노프의 오류였고, 제2, 제3 인터내셔널 이론가들의 공통된 오류다. 변증법적 유물론과 역사적 유물론은 주객체 2원론을 재도입함으로써 “혁명적 실천을 주체의 변화와 환경의 변화의 합치”로 파악한 맑스의 창안이 지워져 버렸다. 객관주의적 결정론적 맑스주의든, 주의(主意)주의적 맑스주의든 <이론과 실천의 분리>라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6. 레닌의 인민주의적 뿌리 ; 레닌은 혁명이론의 발달에 비해 노동자운동의 발달이 한참 뒤처진 <격차>를 제대로 극복하지 못하고, 혁명의 지도적 역할을 ‘지식인층’에게 부여한 러시아 인민주의(나로드니키)의 전통을 (그들의 주장과 달리) 그대로 받아들였다. 지식인층의 특권적 위상은 레닌에게 와서 ‘정당’에게 옮아간다. 인민주의는 ‘혁명 봉기론’ ‘농민층의 혁명성’을 강조했거니와, 레닌의 혁명당은 민주주의, 시민적 자유를 필요로 하지 않는 조직원리를 표현했고, 레닌의 기대와 달리 러시아 농민은 1917년, 그뒤에 이르기까지도 프롤레타리아화되지 않았다.


7. 당의 특권화 ; 진정한 계급투쟁은 ‘당’에 집중된다는 생각은 객체와 주체를 분리하고, 계급투쟁에 대한 물신화된 관념을 부여한다. 막스 베버는 ‘근대사회’를 조율하는 ‘근대 국가’를 대단히 강조했는데 레닌의 당 이론은 ‘베버의 근대국가’와 닮은꼴이다. <자본의 시초 축적>처럼 국가의 근대화는 사적 개인들로부터 주권을 탈취하여, 사회에서 떨어진 영역에 집중시키는 일이었다. “권력을 국가에로, 합법적으로 집중하라” 레닌에게도 ‘권력 행사의 집중’이 중시된다. ‘(정당)정치를 자율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관념은,

‘정치 = 엘리트들의 영역’이라는 문제를 ‘혁명의 장’ 속에 도입한다.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법칙의 물신주의는,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당/국가 물신주의’로 이어진다.

==== 본질적으로 <지배의 장치>인 국가(권력)에 의존하여 변혁한다는 노선은 인민 대중을 비-주체화한다.


8. 프롤레타리아적 중앙집권제 ; 이는 “콤뮨과 국가의 지양”이라는 맑스의 일관된 방향과 모순된다. ‘대리주의’를 통해 자율화된 러시아의 볼세비키당은 결국 ‘노멘클라투라(당 관료)’를 낳고, 이들 통제되지 못하는 당관료층은 저희끼리 고무신을 거꾸로 신은 뒤, (소련 패망후) 재빨리 천민자본가층으로 변신했다. ‘대리주의’의 폐해가 이로써 극명하게 드러났다.


9. 사회주의 관점의 편협함 ; 레닌 등은 ‘사적 소유제도’만 폐지되면 사회주의는 어렵지 않게 실현된다는 소박한/협소한 관점을 지녔었다. ‘소외된 노동의 극복’이라는 문제의식이 없었다(인간해방 없는 노동해방은 편협하다).

 그래서 노동착취의 도구인 ‘테일러리즘’을 극찬하고 도입했다. 소련의 국유화는 ‘소외된 노동을 지양하는 진정한 사회적 소유’로 발전하지 못하고, 국가적 형태의 사적 소유로 귀결.


9. 국가폭력에 의한 공포 정치(철권 통치)로 비판받는 스탈린에 대해, 왜 러시아 주민들은 전폭적이거나 부분적인 동의를 해주었는가? 러시아 민중이 ‘국가 물신주의’에 사로잡혀 있는 한에서, 그 동의는 가능했다. 그것이 진정한 사회주의적 관계의 확립이 아니었다는 사실은, 소련지배층이 ‘체제 전환’을 결의한 데 대해 민중이 아무 발언도 하지 않고 방관했다는 사실로 폭로된다.


10. 물론 레닌의 오류는 레닌만의 오류가 아니다. 엥겔스도 ‘철학적 유물론’에 얼마쯤 함몰되었으며, 맑스는 사회주의의 목표와 원리는 제시했지만 그에 이르는 필수적인 정치적 ‘매개’를 파악하지 못했다. 빈 공백을 레닌은 러시아 인민주의 전통으로 메웠다.

 국가 소멸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자기 결정하는 민중권력” 같은 비국가기구들을 제도로 받아 장려하고, ‘불가피하게 잔존하는’ 국가기구에 대한 민중적 통제를 높일 길을 찾아 기나긴 모색에 나서야 한다.     

 사회주의는 세계적 사업이니, ‘시행착오’가 따르기 마련이다. 20세기 한 차례의 흐름은 시행착오의 길을 걸었음을 겸허하게 헤아려야 한다. 그런 넓은 헤아림 없이 수많은 인민의 마음을 살 수 있겠는가.   



  
이름 비밀번호
도배방지
아래 보이는 문자열을 마우스로 복사 또는 직접 입력하세요.
NZNKSB 직접 입력
쓰기 목록 추천 수정 답글 삭제
244
강성신
2007.11.27 1745/388
243
소나무
2007.11.27 953/292
242
허영구
2007.11.27 942/284
241
연대사회
2007.11.27 1259/259
240
허영구
2007.11.26 1368/290
239
민주노총부산본부
2007.11.26 1446/289
238
허영구
2007.11.26 1093/244
237
허영구
2007.11.26 928/228
236
허영구
2007.11.26 985/269
235
좌파반대
2007.11.25 1295/248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CopyLeft By Jinbo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