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실천 사회변혁 노동자전선▒▒▒
 
HOME | 로그인 | 회원가입 | 자료찾기
 
   
 
 
 
 
<노동자 정치학교> 강의문 모음집 발간
노동자정치학교(http://www.hbyd.org)
2550 2889  /  262
2010년 10월 14일 19시 47분 29초

<노동자 정치학교> 강의문 모음집 발간



해방연대 부설 <노동자 정치학교>는 '사회주의의 핵심을 학습하자'는 기치로, 지난 2월 10일부터 매주 1회 4개월 동안 학교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리고 그 성과물 중 하나로 강의문 모음집을 발간하였습니다.

전세계적인 자본주의 위기로 인해, 자본주의 체제의 유일한 대안이라 할 수 있는 사회주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1990년대 초 현실사회주의의 붕괴는 사회주의에 엄청난 타격을 가했지만, 이는 역사적 시각에서 본다면 일시적인 현상일 뿐이었습니다. 신자유주의 등 노동자에 대한 착취 강화, 제국주의 침략전쟁, 심각한 환경파괴 등은 노동자, 민중의 투쟁을 끊임없이 불러일으키고 있고, 이는 새로운 사회주의에 대한 욕구를 증대시키고 있습니다. 일본, 유럽 등에서 자본론에 대한 관심이 다시 급증하는 것 또한 그러한 사실을 방증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노동자 정치학교>는 학교를 준비하면서 한국에서 사회주의 학습 책자들이 상당부분 절판되었으며, 남아있다 하더라도 사회주의의 핵심이 빠지고 적당히 구미에 맞는 방식으로 편집된 자료들이 많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래서 <노동자 정치학교>는 강의내용과 강의문을, 사회주의의 기초적인 내용을 충실히 전달하는데 중점을 맞추어 구성하였습니다.

노동운동의 무기력을 돌파하기 위해서도 사회주의 노동운동의 전진이 필요합니다. 노동해방, 인간해방의 세상을 위해서도 사회주의라는 사상적 무기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실천이 학습활동입니다. 이러한 학습활동은 사회주의에 대한 왜곡된 시각을 바로 잡고, 우리의 실천활동의 폭도 넓혀줄 것입니다. <노동자 정치학교> 강의문 모음집은 사회주의를 고민하는 노동자들에게 훌륭한 학습자료가 될 것입니다. 일상적인 학습활동의 강화로 운동의 무기력을 극복해 나갑시다!

[구입문의]





▶ 가격 : 1만원 (B5 269페이지)
▶ 사무실 방문 구매를 부탁드리며, 주문은 메일 또는 전화로 가능합니다.
      * 서울시 용산구 한강로3가 40-10 인영빌딩 3층
      * hbyd@jinbo.net (연락처와 주소를 꼭 남겨주세요!)
      * 02_2275_1910 / 010_8513_5535 (이영수, <노동자 정치학교> 교무처장)

[주요내용]



1. 역사적 유물론
역사를 유물론적으로 파악한다는 것은? / 사회생활의 토대는 물질적 생산 / 생산력과 생산관계의 변증법 / 사회의 토대와 상부구조 / 계급, 계급투쟁, 국가 / 사회혁명 / 사회적 존재와 사회적 의식

2. 임노동과 자본
자본주의 경제의 기초 / 잉여가치와 임금 / 자본의 축적 / 공황

3. 국가론
국가의 기원과 본질 / 부르주아 국가의 특징 / 새로운 유형의 국가로서의 노동자국가

4. 정치경제투쟁론
노동자계급의 계급투쟁은 세가지 기본형태를 갖는다. / 정치투쟁과 경제투쟁의 올바른 결합 / 잘못된 정치, 경제투쟁론이 실천상 야기하는 문제점 / 맺으며

5. 사회주의혁명론
자본주의가 만들어 놓은 사회주의 사회의 필연성 / 노동자계급 등장의 역사적 의의 / 사회주의 혁명의 의의 / 1871년 프랑스 파리코뮌 / 러시아 10월 사회주의 혁명

6. 전략전술론
사회주의 '전략전술'이란 무엇인가? / 사회주의 '전략전술'의 이론적 토대 : 맑스주의 / 사회주의 전략 수립을 위하여 / 실례로 보는 전략 / 전술수립에 앞서 / 전술수립을 위하여 / 통일전선전술 / 의회전술

7. 조직론
새로운 사회주의를 실현하려는 당 / 노동자계급의 선진적 부대로서의 당 / 당원이 당조직 중 하나에 참여하여 활동하는 당 / 민주집중제를 구현하는 당 / 당물신주의를 배격하는 당

8. 사회주의노동운동사
자본주의와 노동자계급의 형성 / 공상적 사회주의 / 과학적 사회주의의 출현 / 1848~1849년 유럽의 혁명들에서 노동계급(프랑스를 중심으로) / 제1인터내셔널의 창립 / 파리코뮌 / 대중적 사회주의 정당의 성장 / 제2인터내셔널 / 수정주의의 등장과 기회주의적 경향의 강화 / 러시아 1905년 혁명 / 제국주의 전쟁에 대한 세가지 태도 - 사회국수주의, 중앙주의, 국제적인 혁명적 사회주의 / 러시아 10월 사회주의 혁명과 제3인터내셔널의 창립 / 제3인터내셔널과 민족해방투쟁 / 제3인터내셔널과 반파시즘 투쟁 / 스탈린주의와 그 비판 / 사회주의 운동의 새로운 대안

  
이름 비밀번호
도배방지
아래 보이는 문자열을 마우스로 복사 또는 직접 입력하세요.
VQURSY 직접 입력
쓰기 목록 추천 수정 답글 삭제
2344
해방연대
2010.11.09 2570/204
2343
비호
2010.11.09 2600/181
2342
사노위
2010.11.09 2364/182
2341
노동전선
2010.11.08 1827/243
2340
노동전선
2010.11.08 2479/230
2339
노동전선
2010.11.08 1886/253
2338
노동전선
2010.11.08 2511/230
2337
금속민투위
2010.11.08 2554/235
2336
노동해방선봉대
2010.11.06 2676/232
2335
노동해방선봉대
2010.11.06 2787/269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CopyLeft By Jinbo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