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또한 이명박 정권과 자본이 민주노조 운동을 말살하려 한다며 2010년 상반기에 민주노총 차원의 총력투쟁전선 구축이 강력히 요구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명박 정권과 자본이 2010년 전임자 역량의 대폭축소, 2011년 복수노조 교섭창구 단일화를 악용한 산별노조의 와해를 노리고 있다는 것.
활동가대회에 참가한 노동자들은 이같은 상황이 “정부와 한나라당이 수년전부터 획책해 왔던 이른바 제3노총의 현실화와 맞물려 있다”며 “이대로 가면 민주노총은 수년간 지속된 민주노조 위기 끝에 군소 노총의 하나로 전락할 것”이라고 위기의식을 드러냈다.
조희주 노동전선 대표는 “가는 곳마다 정리해고, 구조조정이다. 금속, 보건, 공공, 전교조, 건설 등 대다수의 노조에 대해 단체협약을 해지하고 노조의 투항적 양보를 강제하고 있다. 철도, 가스, 발전 등 공공부문 전반에 걸쳐 평균 13%의 인원을 잘라내고 그 자리를 외주화 등 비정규직으로 채우고 있다. 공무원노조의 설립신고 반려, 건설노조의 설립변경신고 반려에 이어 전교조의 설립신고 반려까지 예상된다. 사실상 노조 문 닫으라는 거나 다름없다.”고 전했다.
![]() |
경기지역 한 활동가는 “남이 어떻게 할 것을 기대하지 말고 나 자신부터 투쟁을 만들기 위해 최대한 노력 해야 하는 시기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준도 사회진보연대 노동위원장은 “민주노총 5월 총파업이 지방선거에 매몰되고 있다. 정치적 비판을 강화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노조탄압 분쇄, 생존권 쟁취 투쟁이 전국적으로 집중되면서 노조법 개악 투쟁과 맞물려 새로운 투쟁 전선을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노동자 죽이기’ 공세에 맞선 민주노조 운동의 내부 역량의 문제도 지적됐다. 정권과 자본의 탄압은 “노조가 전반적으로 수세적임을 확인하고 있기 때문에 밀리는 게 확인 되자 파죽지세로 몰아붙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민주노총의 상반기 투쟁전선이 실종될 위기에 처했다며 활동가대회에 참가한 노동자부터 상반기 투쟁전선 구축에 나서자고 결의를 모았다.
이들은 상반기 투쟁의 일차적 목표로 “전반적으로 패배적 분위기 하에 속수무책으로 공격받고 있는 노동운동의 분위기를 반전시켜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최종 목표로 “이명박 정권의 노동자 죽이기 공세에 제동을 거는 것”으로 삼았다.
마지막으로 노동자들은 각 사업장의 소식을 전하고, 상반기 투쟁전선 구축을 위한 단위별 투쟁조직화와 실천계획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