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실천 사회변혁 노동자전선▒▒▒
 
HOME | 로그인 | 회원가입 | 자료찾기
 
   
 
 
 
 
강령토론 제 4호의 글 전체 공개합니다!
강령토론편집위
2072 1674  /  159
2010년 03월 15일 15시 34분 05초

 

제 4 호

 발행 : 2010년 3월 2일  |  발행자 : 「사회주의강령을 토론하자!」 편집위원회

 

※ 인터넷 상 글 전체 공개!

- 책자 구매는 전화 02-2275-1910, 이메일 programto@jinbo.net을 통해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사회주의강령을 토론하자!」 제 4호를 발간하   

「사회주의강령을 토론하자!」 제 4호가 다소 늦게 동지 여러분을 찾게 되었다. 4호 발간이 늦어지게 된 것은 우선 여러 가지 활동들이 겹쳐지면서 글을 기고할 동지들의 글 작성이 늦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4호가 늦어지게 된 더 큰 이유는 3호의 발간사에서 독자들에게 한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였다.

3호 발간사에서는 “앞으로, 생태문제에 대한 더욱더 심화된 토론을 활성화할 뿐만 아니라, 여성문제에 대한 사회주의적 관점의 토론을 적극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임을”임을 밝혔다. 이러한 계획에 따라 편집위원회는 4호에 여성문제에 관한 글을 싣기로 기획하고, 이미 편집위원회에서 진행하고 있던 여성문제에 대한 학습과 토론에 박차를 가하였다. ... <더보기<


「사회주의강령을 토론하자!」제 4호를 발간하며

여성문제, 계급문제에 대한 이원론적 접근 비판

건설할 사회주의노동자당의 지도이념은 맑스주의이다

국가자본주의론의 고질적인 '추상적 도식주의'

'에코자본주의'의 허상과 생태적 대안 제시의 필요성


여성문제, 계급문제에 대한 이원론적 접근 비판

이 상 진(노동해방실천연대(준) 회원)

... ‘사회주의 여성주의’는 이론에 있어서, 맑스주의의 역사유물론과는 병렬적으로 존재하는 가부장제를 주장하면서 이원론적 구조로 나아갔다. 이는 계급문제와 여성문제를 총체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사회주의 운동과 여성해방운동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내지 못하였다. ‘사회주의 여성주의’는 맑스주의에서 좋은 것, 급진 여성주의에서 좋은 것을 취합하여 “행복한 결혼”이 되리라 생각하였지만, 사실은 물과 기름처럼 하나로 합쳐질 수 없는 것이었다.

여성문제에 있어 이러한 이원론적 입장은, 결국에는 여성운동을 하나의 부문운동으로서, 사회주의 변혁운동과 병렬적으로 위치시키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 <더보기>


건설할 사회주의노동자당의 지도이념은 맑스주의이다

성 두 현(노동해방실천연대(준) 지도위원)

한국의 사회주의자들은 현재 사회주의노동자당 건설을 위해 투쟁하고 있다. 사회주의자들 사이에서, 건설할 당을 사회주의정당으로 설정하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공유되고 있음으로, 건설할 당의 지도이념이 사회주의라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없다. 문제는 당의 지도이념을 사회주의로 규정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역사상 사회주의를 자처하는 많은 조류가 있었지만 대부분 실제로 사회주의가 아니었고, 현재에도 사회주의를 자처하는 많은 조류가 있지만 대부분 실제로 사회주의가 아니기 때문이다. ... 때문에, 진지하게 사회주의를 실현하려는 당을 건설하려 할 때, 사회주의자들은 당의 지도이념을 사회주의로 규정하는 것에 멈추지 않고, 당의 지도이념을 맑스주의로 규정하여야 한다... <더보기>


국가자본주의론의 고질적인 '추상적 도식주의'

황정규(「사회주의강령을 토론하자!」 편집위원회 편집부장)

... 추상적 도식주의에서 오는 오류와 한계를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경우가 바로 레스닉과 울프의 국가자본주의론이다. 이 글에서는 이들의 국가자본주의론을 검토해봄으로써, 추상적 도식으로 소련사회를 재단하려는 것이 국가자본주의론에서 나타나는 고질적 문제이고, 이러한 추상적 도식주의가 불가피하게 많은 오류와 한계를 야기한다는 것을 보다 명확하게 알아보도록 하겠다. ...<더보기>

'에코자본주의'의 허상과 생태적 대안제시의 필요성

박남일(노동해방실천연대(준) 회원)  

... 이 글에서는 부르주아 세력이 생태문제에 대하여 대응해온 과정과 현황을 거칠게나마 짚어보고자 한다. 세계의 부르주아계급과 제국주의 세력은 생태문제에 대하여 어떻게 대응해 왔을까, 또 그렇게 의제를 선점한 생태문제의 본질을 어떻게 왜곡시켜왔을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나가는 과정에서 우리는 생태위기 해법의 반면교사와 더불어, 사회주의노동자당의 생태 강령에 대한 배경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더보기>


 

 


  
이름 비밀번호
도배방지
아래 보이는 문자열을 마우스로 복사 또는 직접 입력하세요.
7DM7EB 직접 입력
쓰기 목록 추천 수정 답글 삭제
1694
진보평론
2010.03.05 1578/104
1693
다함께공무원모임
2010.03.05 1557/165
1692
허영구
2010.03.05 1287/109
1691
변혁산별
2010.03.03 1483/173
1690
하노위
2010.03.02 1886/171
1689
노동자정치학교
2010.03.02 2088/131
1688
강령토론 편집위
2010.03.02 1890/106
1687
노동자공동투쟁
2010.02.28 1886/209
1686
노동전선
2010.02.28 1943/201
1685
인권연대
2010.02.24 1971/222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CopyLeft By JinboNet